2023년07월20일 14:35
최근 연길시 한 주민이 교육양성기구의 고객 서비스를 사칭한 교육비용 환불 사기를 당했다. 사기군은 모 교육양성기구 사업일군을 사칭하여 주동적으로 피해자에게 련락을 취해 피해자의 절실한 교육비용 환불심리를 리용하여 피해자가 제공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받도록 유도하고 소프트웨어내에서 증권을 구입하는 것으로 교육비용 활불을 대신하는 사기를 실행하여 피해자에게서 3만원을 사취했다.
공안 분석:
사기군은 정책, 전염병 등 영향을 리유로 양성기구 고객서비스를 사칭하여 전화, 메시지, 우편 등 방식으로 교육양성기구에 참가한 수강생을 련계한다. 그들은 급히 환불을 요구하는 피해자의 심리를 리용하여 교육비용 환불을 도와준다고 말하고 피해자를 QQ그룹에 가입시키거나 피해자가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사기를 친다.
이어 일반적으로 두가지 방법으로 사기를 친다.
첫째, 피해자가 허위투자 플랫폼을 다운받도록 유도하고 그안에서 '증권구매' '충전'하여 교육비용을 환불받게 하며 피해자가 계좌이체하도록 유도해 돈을 편취한다. 둘째, 사기군은 쇼핑 플랫폼과 합작하여 '쿠폰 증정' 형식으로 교육비용을 돌려주는데 피해자에게 허위 플랫폼 링크를 보내 피해자가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해 사기를 당하게 한다.
경찰 제시:
이같은 양성기구 '교육비용환불' 정보에 대해 신중히 다루어야 한다. 소위 '예치된 금액에 대한 반환'과 '증권 구매로 교육비용 대신'하는 '교육비용 환불 방안'은 모두 사기이다. 교외양성기구 해당 비용 문제와 관련된 것은 양성기구 공식측 고객서비스 혹은 관련 부문과 련계를 취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낯선 링크를 함부로 클릭하거나 낯선 QR코드를 스캔하거나 모르는 앱을 다운받지 말아야 하며 낯선 계좌로 송금, 이체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부주의로 사기를 당하거나 의심스러운 상황이 발생하면 증거를 잘 보관하고 제때에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 빨리 신고할수록 긴급 정지 및 사기당한 돈의 신속한 동결에 유리하여 재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변라지오TV넷 연변방송APP
출처: 연길시공안국
편역: 김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