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03월25일 14:48
기본지식 문답(13가지 물음)
(1) 오미크론 바이러스는 어떤 특점이 있는가?
오미크론 변이주의 뉴클레오티드의 변이점은 50개 가량이며 그중에서 30여개 변이점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단백에 있으며 스파이크단백은 바이러스가 인체세포에 감염되는 관건이며 돌연변이는 바이러스와 인체세포의 결합능력을 증가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높이고 그 감염능력은 델타 변이주보다 37.5% 증가한다. 이번 전염병을 일으킨 BA.2 종속적 형태의 전파력은 그전에 류행하였던 BA.1에 비하여 약 30% 높아졌으며 기관지조직에서의 복제는 델타 변이주의 70배에 달한다.
(2)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전파방식은 무엇인가?
주요 전파경로는 호흡기 비말과 밀접접촉 전파이지만 특정된 조건에서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품이나 바이러스로 오염된 환경에 폭로되였을 경우에도 접촉 전파 또는 에어러졸 전파를 초래할 수 있다.
감염된 후 대다수 환자의 증상이 경미하고 심지어 무증상이고 증상이 있어도 주요하게 발열, 기침, 두통, 코막힘, 무기력, 인후통 등 일부 특이성이 결핍한 증상이므로 그 전파의 은닉성이 비교적 강하여 여러곳에서 산발하거나 집중적으로 폭발하기 쉽다.
(3) 오미크론에 감염된 경증 환자는 어떤 증상이 있는가?
경증 환자는 저열, 경미한 무기력, 후각 및 미각 장애 등 증상이 있고 페염증상이 없으며 코로나19로 감염된 후에도 선명한 림상증상이 없을 수 있다.
(4) 최근 왜 여러 지방에서 본토 결집성 전염병이 발생하였는가?
첫째, 전 세계적 특히는 아시아주의 전염병 발병률이 높은 영향을 받았다. 둘째, 오미크론 변이주의 전염성이 강한 영향을 받았다. 셋째, 최근 코로나19로 감염된 다수의 환자가 무증상이거나 증상이 경미하여 발견하기 어려운 영향을 받았다.
(5) 우리 성의 이번 코로나19 감염자의 상황은 어떠한가?
현재, 길림성의 감염자중에서 근 95%에 달하는 환자가 무증상이거나 경증 병례이며 대부분의 경증 및 일반형 환자는 간호와 치료를 받은 후 병세가 호전되였으며 경증 및 일반형이 중증 및 위중 환자로 전환하는 비례가 극이 적다.
(6) 왜 이번 전염병에서 무증상감염자의 비례가 비교적 높은가?
한방면으로는 오미크론 변이독주 자체의 특점에 있고 다른 한방면으로는 우리 나라에서 백신접종 추진 속도가 비교적 빨라 전국적으로 근 90%의 사람들이 전반 백신접종을 마쳤기에 이런 사람들이 일정한 면역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7) 이번 전염병에서 아동병례는 어떤 증상이 있는가?
아동병례의 증상은 상대적으로 경미하며 부분적 아동 및 신생아 병례의 증상은 전형적이지 않은바 구토, 설사 등 소화기증상 또는 반응이 느리거나 호흡이 빨라지는 증상만 있다.
(8) 〈코로나19 진료방안(시행 제9판)〉에 비추어 코로나19 경증 환자는 왜 입원하지 않아도 되는가?
경증 병례에 대하여 집중격리관리를 강조하고 원래처럼 지정된 병원에 가서 격리치료를 받을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만일 환자의 병세에 변화가 있어 가중되면 즉시 지정의료기구에 전이하여 관찰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오미크론은 전염성이 강하지만 경증 비례가 높아 분별관리를 하면 의료기구에 몰리는 현상을 피면하여 중증 환자를 위하여 의료자원을 양보할 수 있다.
(9) 경증 병례의 집중격리관리는 병세를 지연시킬 수 있는가?
경증 병례에 대하여 지정병원에서 치료하는 것을 강조하지 않는 것은 현재 경증 환자가 중증 환자로 전환하는 비례가 비교적 낮기 때문이다. 일부 질병으로 진전될 수 있는 사람들 례하면 고령,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에 대하여서는 코로나 19 집중격리지점에 전문적인 의료자원을 배치하여 의료관찰을 하며 위험평가와 원유의 기저질환에 대한 치료를 한다. 일단 진전될 위험이 있으면 즉시 지정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다.
(10) 무증상감염자는 전파성이 있는가?
무증상감염자의 전염성은 낮지 않으므로 질병으로 진전될 가능성이 있어 집중격리를 하면서 관찰하여야 한다.
(11) 무증상감염자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가?
무증상감염자는 전염성과 질병의 진전위험방면에서 극히 경미한 경증 병례와 류사하다. 때문에 무증상감염자를 림상 경증 병례와 마찬가지로 관리하여 집중격리관리를 하여야 하며 상응한 치료와 병례검사를 잘해야 하며 일단 가중될 추세가 보이면 즉시 지정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12) 출원후 격리기간을 줄이면 다시 양성으로 되거나 2차 전파할 수 있는가?
진단기준의 변화로 말미암아 격리기간을 줄인 후 다시 양성으로 될 확률은 아주 낮다. 해당 연구에 비추어 보면 다시 양성으로 될지라도 핵산수준은 아주 낮아 기본상 2차 전파를 초래하지 않는다.
(13) 오미크론에 대응하여 백신접종에서 주의점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가 초래한 입원수와 사망수는 여전히 아주 많아 의료자원의 긴장을 초래하였다. 현재 상황에서 우리가 백신을 접종하고 개인 방호를 잘하는 것은 코로나에 대응하는 가장 주요한 한가지 조치이다. 백신을 접종한 후 규정에 따라 만일 백신 추가접종 요구에 부합되면 규정된 시간내에 빨리 백신 부스터샷을 접종하여야 한다.
방역지식 문답(16가지 물음)
(1) ‘밀접접촉자’란?
바이러스 의심병례와 확진병례의 증상이 나타나기 2일전부터 또는 무증상감염자 샘플채취 2일전부터 그들과 근거리 접촉이 있었지만 효과적인 방호조치를 취하지 않은 인원을 가리킨다.
아래의 원칙으로 밀접접촉자를 판별한다. ①동일한 방에서 공동으로 생활하는 가정성원. ②직접적으로 돌보는 사람 또는 진찰, 간호를 제공하는 사람. ③동일한 공간에서 에어러졸 산생 가능성이 있는 진찰을 하는 의무일군. ④사무실, 작업장, 반조, 엘레베이터, 식당, 교실 등 동일한 장소에서 근거리 접촉이 있는 인원. ⑤밀페된 환경에서 함께 식사, 오락하거나 식사, 오락을 제공하는 서비스업자. ⑥환자를 면회한 의무일군, 가족 또는 기타 근거리접촉자. ⑦동일한 교통도구를 탑승하고 근거리 접촉(1메터 이내)이 있는 인원, 교통도구에서 돌봄서비스를 한 간호자, 동행자를 포함. ⑧병례 또는 무증상감염자에 의하여 가능하게 오염된 환경에 폭로된 사람. ⑨현장조사일군의 평가에 의하여 기타 밀접접촉자로 판정되는 기준에 부합되는 인원.
(2) ‘밀접접촉자’의 ‘밀접접촉자’란?
‘밀접접촉자의 밀접접촉자’를 ‘간접접촉자(次密接)’라고 략칭한다. 밀접접촉자가 확진자 및 무증상감염자와 처음 접촉해서부터 이 밀접접촉자가 격리관리되기 전까지 이 밀접접촉자와 공동으로 생활하거나 동일한 밀페된 환경에서 작업하거나 공동으로 식사, 오락 등 근거리 접촉을 하였지만 효과적인 방호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람을 말한다. 처음 접촉이란 병례가 발병하기 2일전 또는 무증상감염자 샘플채취 2일전부터 격리관리를 하기전까지의 기간의 시간내에 밀접접촉자가 병례 또는 무증상감염자와 처음 접촉한 것을 가리킨다. 조사에서 밀접접촉자와 접촉이 잦은 가족과 동사자 등을 중점으로 한다.
(3) ‘일반접촉자’란?
일반접촉자란 의심환자, 확진자, 무증상감염자와 비행기, 기차, 륜선 등 동일한 교통도구를 타거나 공동으로 생활, 학습, 근무하거나 진찰을 받는 과정에서 접촉이 있었고 공동으로 상가, 농산물무역시장(재래시장), 공공뻐스, 지하철 내 등 공공장소에서 공동으로 폭로되였지만 밀접접촉자의 판정원칙에는 부합되는 않는 인원을 가리킨다.
(4) 자신이 밀접접촉자인가를 어떻게 조사하는가?
① 위챗으로 ‘국가정무봉사플랫폼’을 검색하고 미니응용프로그램을 클릭한다. ②‘동행밀접인원 자가검사’를 클릭하고 ‘자신을 조사하기’를 선택한다. ③안면인식으로 신분정보를 조회하면 확진자 또는 의심환자와 밀접접촉이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5) 집중격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①집중의학관찰을 받는 인원은 단독 공간에서 격리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격리관찰을 받으며 집중격리기간 방을 떠나지 못하며 외래인원의 방문을 받아서는 안된다. ②방역요구에 비추어 매일 아침, 저녁으로 체온과 건강 측정을 하며 정기적으로 핵산검사를 하고 방안의 일상소독을 잘해야 한다. ③격리기간에 매일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켜 방안의 공기류통을 유지하는 데 주의를 돌려야 한다. ④정기적으로 개인의 옷가지를 씼고 방안을 정리하며 방안의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방안에서 산생된 쓰레기를 자체로 비닐주머니에 넣고 아구리를 잘 묶어 지정된 곳에 놓아야 한다.
(6) 자가격리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①격리 방은 될수록이면 ‘한사람 단칸 단독 화장실’요구에 부합되여야 한다. ②격리인원 및 공동으로 거주하는 가정성원, 룸메이트는 원칙상에서 외출하지 못하며 매일 사회구역에 자가격리인원의 체온 등 건강상황을 두차례 보고하여야 한다. ③의료기구의 방문 핵산검사에 협조하여야 한다. ④사회구역에서는 생활보장을 제공하여야 한다. ⑤자가격리조건에 부합되는 장소가 없으면 집중격리장소에서 건강관리를 받아야 한다. ⑥발열, 기침 등 10가지 증상이 나타나면 제때에 페환식으로 지정의료기구에 옮겨 검사를 받아야 한다. ⑦기타 급환은 당지에서 지정한 의료기구에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7) 자가건강검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두가지를 잘하고 한가지를 피면하며 한가지 제때에’의 요구를 실시해야 한다. 두가지를 잘한다는 것은 건강검사를 잘하고 매일 체온을 측정하며 요구에 따라 자각적으로 사회구역의 핵산검사지점에 가서 핵산검사를 받으며 필요하지 않으면 외출하지 않고 외출할 경우 개인방호를 잘해야 하며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한가지를 피면한다는 것은 원칙상에서 재택근무를 하며 등교 등 집단활동을 하지 않으며 밀페된 공공장소에 들어가지 말며 모임, 식사모임 등 집단성 활동을 피면해야 한다. 한가지 제때에는 발열, 기침, 후각과 미각 둔화 등 이상상황이 나타나면 제때에 지정병원으로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자가건강검사 기간에 공동거주인원은 외출할 수 있다. 고정된 거처가 없는 사람은 집중격리장소 또는 환기조건이 좋고 중앙 집중식 냉난방 시설을 사용하지 않는 장소에서 건강검사를 할 수 있다. 급환은 당지에서 지정한 의료기구에 가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8) 자아건강검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①‘자아건강검사’ 기간 개인방호를 잘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출근, 등교하거나 진찰을 받는 등 활동을 할 수 있다. ②기간 매일 자아건강상황에 대하여 관찰을 하며 만일 발열, 기침, 후각과 미각 둔화 등 이상상황이 나타나면 제때에 지정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9) 집안 소독시 8가지 잘못된 인식은 무엇인가?
①과도한 소독으로 일상청결을 홀시하는 경우. ② 소독제의 농도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경우. ③ 부동한 류형의 소독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④ 소독제 사용시 필요한 방호를 하지 않는 경우.⑤ 실내에서 알콜을 뿌려 소독하는 경우. ⑥손소독제로 흐르는 물 손세정을 대체하는 경우. ⑦ 물품을 소독한 후 후속 청결을 하지 않는 경우. ⑧ 소독제 보관이 합리적이지 못한 경우.
(10) 집안 위생청결시 주의점?
①자주 환기: 구체적인 날씨상황에 따라 매일 2-3회 환기시키고 매번 적어도 반시간은 환기시켜야 한다. ②자주 손세정: 외출하고 집으로 돌아왔을 경우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하며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물품을 접촉하였으면 반드시 손을 씼거나 손소독제로 소독해야 한다. ③ 옷 세탁: 외출한 옷은 자주 갈아입고 세탁해야 하며 필요할 경우 끓는 물로 삶아서 소독하거나 제품설명서에 따라 84소독제 등을 사용하여 담가놓는 방법으로 소독해야 한다. ④ 가구표면 청결 유지: 손잡이, 책상면 등 손이 자주 닿는 곳의 표면을 매일 닦고 필요할 경우(만일 집에 손님이 오거나 등) 제품 설명서대로 알콜 또는 84소독제 등 소독제를 사용하여 소독해야 한다. ⑤식기 정기적 소독: 특히 집에 손님이 방문하였으면 식기를 전문적인 가마에 넣고 15분이상 삶아야 한다. ⑥ 입과 코 분비물 처리: 기침, 재채기를 할 때 휴지로 입과 코를 막아야 하며 사용한 휴지 등 쓰레기는 단독으로 쓰레기주머니에 넣고 제때에 처리하여 기타 가족성원이 접촉하는 것을 피면해야 한다.
(11) 사무실 소독의 중점은?
①엘리베이터 버튼, 손잡이, 수동 수도꼭지, 공중전화를 중점적으로 소독해야 한다. ②지면과 각종 가구의 웃면은 조건이 있으면 적당하게 청결과 소독 차수를 늘일 수 있다. 매일 정기적으로 소독하고 청결, 소독 기록을 잘해야 한다. ③사무장소내 손세정 시설이 정상적으로 운행되도록 담보하며 빨리 마르는 손소독제를 배치하고 조건이 있으면 센서 방식의 손소독시설을 배치할 수 있다. ④쓰레기 분류관리를 강화하고 제때에 수집하고 운반해야 한다. 쓰레기통 등 쓰레기 용기의 청결을 강화하고 정기적으로 소독처리해야 한다. ⑤소독제로 공기소독을 할 경우 사람이 없는 환경에서 진행하는 데 주의해야 한다.
(12) 교정방역의 주의점?
①교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교문에 들어설 때 신분과 건강코드, 통신행적카드를 확인하고 체온을 측정해야 한다. 교외 무관인원은 일률로 교내에 들어서서는 안된다. ②학생, 교사는 가정, 학교 ‘두 지점’의 생활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자가용 탑승, 보행 또는 자전거를 타는 방식을 권장하며 대중교통을 될수록이면 피면하고 만일 반드시 사용해야 할 경우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교정으로 들어올 때 1메터 이상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③매일 건강을 체크해야 한다. 만일 기침, 발열, 설사, 무기력 등 증상이 있으면 빠른 시간내에 당직교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13) 교정의 식당에서 식사할 때 주의점?
①식사하기 전에 반드시 손을 씼어야 하는바 손세정제로 흐르는 물에 손을 씼거나 손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다. ②줄을 서는 과정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말을 적게 하며 옆 사람과 일정한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③줄을 설 때 재채기를 하면 휴지로 입과 코를 막거나 팔뚝으로 막는 등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④음식을 받을 때 손으로 자주 접촉하는 물품표면을 직접 접촉하는 것을 피면해야 한다. ⑤식사과정에서 마스크를 벗을 때 마스크 안면의 청결을 유지하여 오염을 피면해야 한다. ⑥식사후 식기, 저가락과 그릇을 회수처에 가져가며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고 식당의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 ⑦ 식사가 끝나면 즉시 식당을 떠나야 하며 식당에 머무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
(14) 교실, 숙사의 방역을 어떻게 할 것인가?
①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②위생을 지켜야 한다. ③한데 모이지 말아야 한다. ④다른 칸에 드나들지 말아야 한다. ⑤자주 청결해야 한다. ⑥자주 환기시켜야 한다. ⑦자주 소독해야 한다.
(15) 7단계로 손을 씼는 방법?
①손바닥을 비빈다. ②손등을 비빈다. ③손가락을 교차하여 손바닥을 비빈다. ④엄지를 문지른다. ⑤손등을 문지른다. ⑥손끝으로 손바닥을 문지른다. ⑦손목, 팔뚝과 팔꿈치를 비빈다.
(16) 방호복을 입고 벗는 방법?
방호복을 입는 방법. ①손위생 규범(7단계 손세정법)을 실시해야 한다. ②의료용 방호마스크 또는 N95마스크(둘중 한가지 선택)를 착용하고 페합시험을 하며 일회용 모자를 쓴다. ③일회용 신발커버를 신는다. ④침투방지 격리옷을 입는다. ⑤일회용 고무장갑을 낀다.(반드시 격리복의 소매를 감싸야 함) ⑥방호안경이나 안면마스크(둘중 한가지 선택)를 착용해야 한다. 방호복을 벗는 방법. ①손위생 규범(7단계 손세정법)을 실시해야 한다. ②방호안경이나 안면마스크를 벗는다. ③신발커버를 벗는다(뒤집어 벗음). ④격리복을 벗으며(뒤집어 벗음) 장갑도 함께 벗는다. ⑤일회용 모자를 벗는다. ⑥의료용 방호마스크를 벗는다(눈을 감고 숨을 죽인다). ⑦ 새 마스크로 교체한다.
핵산검사 문답(7가지 물음)
(1) 핵산검사의 작용은 무엇인가?
핵산검사의 물질은 바이러스의 핵산이다. 핵산검사는 환자의 호흡기내 샘플, 혈액 또는 분변에 외래침입한 바이러스의 핵산이 있는가를 찾아내여 코로나에 감염되였는지를 확정한다. 때문에 검사결과가 핵산 ‘양성’이면 환자의 체내에 바이러스가 있음을 증명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체에 감염된 후 우선 호흡기계통에서 번식하므로 가래, 코와 목에서 채취한 면봉의 바이러스핵산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인체의 감염여부를 판단한다. 때문에 핵산검사하여 양성이면 코로나19에 감염되였다고 확진하는 기준으로 할 수 있다.
(2) 전원핵산검사에서 주의할 세목은 무엇인가?
①길상코드를 준비해야 한다. 사전에 ‘길상코드’와 신분증을 준비하고(신분증이 없으면 유효증건을 휴대하고 아동은 호구부를 휴대) 등록할 때 제때에 제출해야 한다. 만일 가족의 로인과 아이가 ‘길상코드’가 없으면 ‘길사판’ 미니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전에 ‘가족대리수령’을 하여 대기시간을 줄여야 한다. ②식사를 하지 말고 물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 핵산검사하기 2시간전부터 될수록 식사를 하지 말아 구토 등 불편한 상황이 일어나는 것을 피면해야 한다. 30분전에는 될수록 물, 음료를 마시지 말고 담배를 피우지 말고 술을 마시지 말며 껌을 씹지 말아야 한다. 림시로 샘플을 채취할 경우 삼키는 동작을 삼가하고 가래나 침을 뱉는 등 동작을 삼가해야 한다. ③병력이 있으면 고지해야 한다. 코와 입안 샘플을 채취하기 전에 미리 검사일군에게 비강수술사, 비중격 만곡증, 혈액병, 인후질병 또는 항응약 복용 여부를 알려주어야 한다. ④마스크를 규범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줄을 서서 검사를 받을 때 중도에서 마스크를 함부로 벗지 말며 마스크를 턱에 걸어서는 안된다. 샘플을 채취하기 전에 마스크를 벗고 채취한 후 즉시 마스크를 착용하며 마스크를 여벌 준비하여 오염되면 수시로 교체해야 한다. ⑤1메터선을 지켜야 한다. 자각적으로 줄을 서며 1메터 이상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구강내 샘플채취시 머리를 뒤로 젓히고 느슨하게 하고 심호흡을 하며 입으로 “아”하고 소리를 내여 샘플을 빨리 채취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⑥코가 시큰거리거나 가려우면 재빨리 막아야 한다. 비인강 샘플채취과정에서 코가 시큰거리거나 가려울 수 있으므로 만일 재채기가 나오면 즉시 휴지나 팔꿈치로 입과 코를 막아야 한다. ⑦방호복을 다치지 말아야 한다. 검사 과정에서 될수록이면 검사대 등 물품을 다치지 말며 채집일군의 방호복을 다치지 말아야 한다. ⑧머무르지 말고 가래를 뱉지 말아야 한다. 샘플을 채취한 후 즉시 현장을 떠나며 채집지점 및 주변에 가래를 뱉거나 쓰레기를 버리지 말아야 한다.
(3) 항원검사란 무엇인가?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였는가를 현재 세가지 방법으로 검사한다. 핵산검사, 항원검사, 항체검사. 첫 두가지는 모두 바이러스를 직접 검사하는 방법이다. 핵산검사에 비하면 항원검사의 속도가 더 빠르고 조작도 더 간편하지만 정확도가 비교적 낮아 일반적으로 감염초기에 사용한다. 전염병이 발생한 후 여러 나라에서 핵산검사를 코로나바이러스를 검사하는 ‘표준진단’으로 공인하는 동시에 항원검사도 보급하여 이를 효과적인 보충으로 하였다. <코로나19 항원검사 응용방안(시행)〉에 비추어 항원검사결과가 양성이면 의심환자의 조기 분류와 쾌속관리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항원검사에 사용하는 시제는 반드시 국가약품감독관리부문의 비준을 받아야 한다.
(4) 어떤 사람들이 항원검사를 받아야 하는가?
①기층의료위생기구에서 진찰을 받고 호흡기 통증, 발열 등 증상을 동반하며 증상이 나타난지 5일 이내인 사람. ②자가격리관찰, 밀접접촉자, 간접접촉자, 입경한 격리관찰대상, 봉쇄통제 및 관리통제 구역내의 인원 등을 포함한 격리관찰인원 ③항원자가검사수요가 있는 사회구역 주민. 방안에 비추어 사회구역주민은 자가검사수요가 있으면 약방, 인터넷판매플랫폼 등 경로를 통하여 항원검사시제를 자체로 구입하여 검사할 수 있다.
(5) 항원검사로 핵산검사를 대체할 수 있는가?
국가위생건강위원회의 특별 설명에 따르면 핵산검사는 코로나19 감염증을 확진하는 의거이며 항원검사는 특정인원들을 식별하는 보충수단으로 하여 ‘조기발견’능력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다시 말하면 ‘항원식별, 핵산진단’의 검사모식을 추진한다.
방안에 따르면 기층의료위생기구에서 핵산검사능력을 구비하였으면 우선 핵산검사를 하고 핵산검사능력을 구비하지 못하였으면 항원검사를 할 수 있다.
격리관찰인원과 사회구역주민들이 항원검사를 할 때 설명서와 조작규범을 참답게 열독해야 한다. 의심환자는 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이든 음성이든 모두 일층 핵산검사를 해야 한다. 항원 양성 결과를 코로나19에 감염되였다고 확진하는 의거로 삼지 않는다.
(6) 항원검사의 방법은 무엇인가?
①면봉을 코구멍에 될수록 깊숙히 넣고 비강내벽을돌면서 적어도 15초 훑어야 한다. 두 코구멍을 모두 훑어야 하며 한쪽만을 훑어서는 안된다. ②샘플채취관 우의 마개를 열고(관안에 검사액이 있음) 코에 넣었던 면봉대가리를 전부 검사액에 담그고 밑부분까지 닿게 하여 3번 돌리며 적어도 15초를 담근 다음 면봉을 꺼내 샘플채위관 마개를 덮는다. ③샘플채취관 우의 작은 마개를 열고 검사액 4방울을 흰비닐검사통의 샘플구멍에 떨구며(문자S 아래의 타원형의 작은 구멍) 10분가량 기다린 후 결과를 본다(30분을 초과하면 결과는 무효). ④ 검사결과를 볼 때 두줄이면 양성이고 ‘C’에 대응하는 위치가 빨간줄이면 음성이고 줄이 없거나 오직 ‘T’에 대응하는 위치에 빨간줄이 있으면 검사결과가 무효이다. ⑤검사결과 보고: ‘길사판’에 등록한 후 ‘코로나 항원 자가검사 보고’기능을 클릭하고 본인의 자가검사결과를 보고하거나 가족을 대신하여 자가검사결과를 보고한다. ⑥검사가 끝나면 면봉, 샘플검사관, 검사카드 등을 모두 황색표식이 있는 작은 비닐봉투에 넣고 밀봉하여 처리해야 한다.
(7) 항원자가검사에서 양성이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방안에 비추어 항원자가검사에서 양성인 사람은 호흡기, 발열 등 증상이 있거나 없거나를 막론하고 즉시 소재 사회구역(촌진)에 보고하며 사회구역(촌진)에서 응급센터에 련락하여 코로나19 해당 인원 이송 업무지침에 근거하여 주민을 발열외래진찰이 설치된 의료기구에 이송하여 핵산검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
동시에 양성인 자는 샘플채취시 사용하였던 면봉, 샘플채취관, 검사카드 등을 밀봉팩에 넣고 함께 의료기구로 이송하여 의료페기물로 처리해야 한다.
항원자가검사에서 음성이지만 증상이 있는 사람은 방안에 비추어 재빨리 발열외래진찰이 있는 의료기구에 가서 진찰을 받으며 핵산검사를 받아야 한다. 진찰을 받기에 불편하면 자가격리를 하고 외출을 삼가해야 하며 련속 5일간 매일 한차례 항원자가검사를 해야 한다.
편민봉사 문답(9가지 물음)
1.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장춘시민은 어떻게 병을 보이는가?
위급 중증환자, 임산부, 특수 치료환자: 모두 120 구급전화에 직접 전화할 수 있다. 120 구급인원이 지정병원과 련계하여 환자가 진료받을 수 있게 하며 진료가 끝난 후 전용차량을 리용하여 ‘점대점’으로 이송한다.
혈액투석, 종양 화학치료, 영유아 등 특수치료환자일 경우, 위험등급에 따라 대응되는 병원에 가 진료받는다.
봉쇄통제구, 관리통제구의 환자일 경우, 당지 지정병원에 가 진료받아야 하는데 사회구역 사업인원이 먼저 지정병원과 련계하여 환자의 관리통제상황과 병증을 설명하고 전용차량을 리용하여 ‘점대점’으로 이송한다. 진료가 끝난 후 전용차량으로 사회구역까지 이송하여 페환식 관리를 실행한다.
만성질병환자: 의사의 지도 아래에 3개월간의 약품을 일차적으로 구매하여 집에서 치료할 수 있다. 약품을 구매해야 할 경우에는 사회구역(촌) 사업인원이 관할구 의료위생기구와 련계하여 약품배달봉사를 제공해줄 수 있다.
방범구 일반 인원: 당지에서 지정한 일반 진료병원의 온라인 진찰예약을 리용하여 진찰받을 수 있다.
2.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장춘시민은 진료받으러 갈 때 어떻게 차량을 예약하는가?
차량을 예약해야 할 경우에는 95128 택시호출 플랫폼에 전화하거나 휴대폰으로 은련 클라우드신속지불APP ‘택시출행’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차량을 예약하여 병원에 갈 수 있다. 단, 실명제로 차량을 예약하고 신분정보를 등기하며 차량에 탑승한 후 온라인예약 캡처화면과 48시간내 핵산검사 음성증명을 제시하고 마스크를 착용하고 뒤좌석에 앉으며(앞좌석에 앉아서는 안됨) 온라인지불을 실행하며 전 과정에 운전수와 신체상 접촉이 없어야 한다.
3. 장춘시민은 어떻게 주변의 관리통제상황를 빠르고도 정확하게 료해하는가?
코드를 스캔하는 방법으로 ‘장춘시사회관리통제 전자지도’ 미니프로그램에 접속하면 최신버전의 전시범위내 봉쇄통제, 관리통제, 방범 구역과 관리통제시간을 찾아볼 수 있고 전시 핵산검사지점과 검사지점의 봉사상태를 알아볼 수 있으며 본인과 가장 가까운 확진환자와 환자의 활동궤적 등을 조회할 수 있다.
4. 전염병예방통제기간 길림시민은 어떻게 병을 보이는가?
길림시의 2급 이상 의료기구에서는 진료 ‘록색통로’를 개통하였다. ‘록색통로’는 주로 위급 중증환자, 임산부, 신생아, 혈액투석, 종양 화학치료 등 환자를 위해 봉사하며 로인과 만성질병환자들이 제때에 처방약을 뗄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 감독자문전화: 0432-62049379.
5.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사평시민은 어떻게 병을 보이는가?
사평시의 병원에서는 사전검진제도를 엄격히 실시하는데 시민의 ‘두 코드’에 이상이 없어야 병원진입을 허락한다. 사평시부영병원에 갈 경우에는 48시간내 핵산검사 음성증명을 제시해야 한다. ‘두 코드’에 이상이 있거나 발열증상이 있는 환자는 단독식의 발열진찰부에서 진료받아야 한다.
6.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송원시민은 어떻게 병을 보이는가?
송원시의 병원에서는 급진환자와 간호인원의 전염병관리통제정보를 심사한 후에 그들의 진입을 허락한다. 전염병예방통제사업의 수요에 근거하여 환자와 간호인원은 48시간내 핵산검사 음성증명을 소지해야 한다. 길상코드의 색갈이 록색이 아니거나 출행코드에 *표식이 있는 환자는 발열진찰부에서 진료받아야 한다.
7.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연변주 주민은 어떻게 병을 보이는가?
임산부를 비롯한 각종 위급 중증환자와 일반 대중들의 진료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목전 연변주에서는 다음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① 급진, 구급을 강화하여 환자 수용과 치료에 진력한다. 중점관리통제인원과 특수인원에 대한 지정구조치료기구를 설립하고 환자의 진료절차를 합리하게 설계하고 록색통로를 개통하며 위급 중증 환자에 대하여 진료책임을 전가하거나 진료를 거부하지 않으며 환자의 생명을 첫자리에 놓는다. ② 온라인으로 진료를 예약한다. 2급 이상 의료기구에서는 ‘연변 온라인 진료예약’ 플랫폼 등 공식계정을 충분히 리용하고 사전검진사업을 힘껏 추진하며 진료예약, 이동지불 등 기능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고 ‘일식화’봉사를 제공하여 환자들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봉사효률을 높이며 의료기구의 봉사능력을 한층 더 제고한다.
8. 길림성자선총회에 기부하는 경로는 어떠한가?
① 은행 송금:
구좌개설단위: 길림성자선총회
구좌개설은행: 중국건설은행 장춘서안대로지행
구좌번호: 2205 0145 0100 0933 3333
② 온라인 기부: QR코드를 스캔하여 기부한다.
③ 물자 기부: 전염병예방통제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물자를 기부할 수 있다.
접수주소: 장춘시 록원구 보양거리 1616호(길림성자선총회)
기부열선:
0431-89152037, 0431-89152040
9. 전염병예방통제기간 열선전화는 어떤 것이 있는가?
① 전성 질병예방통제기구 코로나19예방통제사업 자문전화
길림성질병예방통제중심:
18604301212 18604302828 18604303636
18604305353
장춘시질병예방통제중심:
18604306161 18604306363 18604307272
18604307575 18604308080
길림시질병예방통제중심:
18629988877 18604321100 18604321188
18604329955 18604473300
연변주질병예방통제중심:
18504438226 18504438220 18504438223
18504438201 18504438200
사평시질병예방통제중심:
13179020803 15500113106 13179023171
13179028993 17604449093
통화시질병예방통제중심:
17643588019 17643588015 17643588016
17643588017 17643588018
백성시질병예방통제중심:
17504360501 17504360502 17504360503
17504360508 17504360509
료원시질병예방통제중심:
18604372088 18604373088 16604372088
16604372688 16604375088
송원시질병예방통제중심:
15543810186 15543812186 15543813186
15543835186 15543837186
백산시질병예방통제중심:
18629781291 18629781297 18629781279
18629781257 18629781210
매하구시질병예방통제중심:
18543683160 18543683161 18543683162
18543683163 18543683169
장백산보호개발구질병예방통제중심:
13298809728 13089301907 13104338967
17684308997 17643357990
② 코로나19 대응 심리원조 열선전화
길림성신경정신병병원:
0431-81177000
0434-5079510
0434-5079511
0434-5079512
0434-5079513
0434-5089009
장춘시심리병원:
0431-12320-6
0431-82708315
0431-89685000
0431-89685333
통화시해룡정신병병원:
0435-4721320
백산시강녕병원:
0439-3540233
백성시도남신경정신병병원:
0436-6333041
매하구시천보신경전과병원:
0435-4211181
③ 길림성교육주관부문 열선전화
13166860839 15504431542
④ 장춘시 시급사회구역관리통제봉사 열선전화
0431-87905382 0431-87905328
⑤ 장춘시 15개 편민전화